윤리와 사상은 어떤 과목인가요? 윤리와 사상은 말 그대로 ‘사상’이라는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양한 동서양의 사상가와 이론을 배우는 과목입니다. 크게 동양철학, 서양철학, 한국철학으로 나누어지며 각 파트별로 특징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동양철학에서는 공자, 맹자, 순자 등 주로 유교 중심의 사상을 다루며 성리학, 양명학, 주자학 등 여러 학파별로도 구분됩니다. 반면 서양철학은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부터 시작되어 중세시대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등 기독교 신학자들의 사상 그리고 데카르트, 칸트, 헤겔 등 근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배우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철학은 조선시대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등 유학자들의 사상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동양철학 vs 서양철학 중 뭐가 더 어렵나요? 개인적으로는 둘다 어려웠지만 굳이 고르자면 서양철학이 좀 더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일단 용어자체가 생소하기 때문에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반복해서 학습하다보면 극복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한국철학은 왜 배우나요? 저도 수능공부를 하면서 많이 했던 의문점이었는데요, 아무래도 다른 나라의 철학보다는 우리나라의 철학을 아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고려시대 때 들어온 불교문화 덕분에 현재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고있을 원효대사의 화쟁사상(和諍思想) 같은 경우 중국불교와는 달리 조화로운 통합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의 통일문제 역시 남북간의 갈등뿐만 아니라 주변국과의 관계 속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북한 및 남한의 전통사상을 알아두면 문제해결에 있어서 보다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Ⅰ. 인간과 윤리 사상
1,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의 필요성
2,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의 역활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1, 사상의 연원
2, 인의 윤리
3, 도덕적 심성
4, 자비와 윤리
5, 분쟁과 화합
6. 무위자연의 윤리
7, 한국과 동양윤리 사사의 의의
Ⅲ. 서양 윤리 사상
1, 사상의 연원
2, 덕
3, 행복 추구와 행복
4, 신앙
5. 도덕의 기초
6. 옳고 그름의 기준
7. 현대의 윤리적 삶
Ⅳ. 사회사상
1, 사회사상
2, 국가
3. 시민
4. 민주주의
5. 자본주의
6. 평화
2023년도 9월 6일 모의고사 일정, 의미와 미리보는 수능 (0) | 2023.08.30 |
---|---|
뉴욕타임즈[문학, 인문, 과학, 사회, 예술, 기타] 선정 죽기전 봐야할 책 100선 알아볼께요. (0) | 2023.08.28 |
미래엔교과서 사회탐구 사회문화(손영찬 외 4명) 특징 및 차례 (0) | 2023.08.26 |
지학사 고등학교 2학년 국어 독서 문학 특징과 차례 (0) | 2023.08.23 |
미래엔 고등학교 2학년 국어 선택과목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차례와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할까요? (0) | 2023.08.22 |